안전한 농산물을 생산·유통하기 위해 GAP 즉,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, 참여 농가 수는 아직 미미합니다.<br /><br />인증을 획득하면 소비자 인식이 좋아져 판로도 더 넓힐 수 있는데요, 이에 따라 지자체가 이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김학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입니다.<br /><br />온도와 습도,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동 조절해 버섯 품질을 높였고 재배환경도 개선해 농산물 우수관리제도인 GAP 인증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덕분에 학교 급식이 가능해졌고 대형 마트에도 진출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상연 / 버섯 재배농민 : 소비자들의 신뢰가 좋고요. 매출이 약 20% 이상 신장이 됐습니다.]<br /><br />농산물의 생산과 관리, 유통 등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농가에 부여하는 GAP 인증.<br /><br />사전 교육을 받은 뒤 물과 토양, 잔류농약 등의 환경관리는 물론 영농일지를 1년 이상 써서 생산과 유통과정을 확인받아야 할 정도로 까다롭습니다.<br /><br />이렇다 보니 2006년 도입 이후 GAP 인증 농가는 전국 8만천여 곳으로 전체 농가의 7.6% 수준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가 농약 등 유해요소 관리기술과 농산물 품질관리기술을 개발해 보급하는 등 GAP 인증 확대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GAP 농산물 홍보도 강화합니다.<br /><br />[김세리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: (GAP 인증을 받으면) 쾌적한 환경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창출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경기도도 잔류농약과 중금속 등의 검사비용과 GAP 농산물의 저장·가공시설 개선자금 등을 지원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올해부터는 농약 사용 안전관리 기준이 대폭 강화되는 만큼 이로 인한 농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GAP 인증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김학무[moo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11117295663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